top of page

마태복음 27:25ㅣ4월 6일

마 27:25 백성이 다 대답하여 이르되 그 피를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돌릴지어다 하거늘


유대 백성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으라고 거세게 몰아붙이자 빌라도가 이에 굴복한다. 빌라도가 그의 피에 대한 책임을 묻자 무리들은 그 피를 자신들과 자신들의 후손에까지 돌리라 외친다. 그 때까지만 해도 그들은 자신들이 하는 말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몰랐었다. 그러다가 엄청난 피바람을 맞게 된다. 말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A.D.70년과 135년 두 번에 걸쳐 유대인이 로마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예루살렘은 초토화된다. 그 때부터 유대인은 나라를 잃고 방랑하며 반유대주의로 말미암아 긴 시간동안 고통을 받는다. 그러다가 히틀러를 통해 끔찍한 학살까지 가해졌다. 말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말에 힘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성경은 죽고 사는 것이 혀의 권세에 달렸다고 전한다(잠 18:21). 긍정과 축복의 말, 믿음과 소망의 말을 풀어놓음이 축복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