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전서 6:19~20

고전 6:19-20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 자신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고린도는 융성한 도시였지만 한 편으론 도덕적 타락의 온상 같았던 지역이었다. 그로인해 당시 ‘고린도사람처럼 되었다’는 표현은 윤리를 저버린 상태를 나타내는 관용적 표현이 될 정도였다. 오늘날 마치 도박하면 라스베가스를 떠올리고, 사창가하면 암스테르담을 떠올리는 것과 같다. 그런 와중에서 바울은 복음을 듣고 신앙의 길에 들어선 고린도 교인들에게 몸 관리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구원받기 이전 나의 몸은 육신의 지배를 받으며 죄를 구현하는 도구였다. 죄란 비진리, 비은혜의 상태 모두를 포함한다. 계명을 파괴하는 적극적인 죄가 있는가하면 할 것을 하지 않는 부작위의 죄도 허다하다. 그 모든 것이 마음에서 비롯되지만 결국은 몸을 통해 나타난다. 몸은 단지 뼈와 살의 집합이 아닌 것이다. 몸은 내가 영적으로 어디에 속했는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이다.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몸의 소유권을 확인시킨다. 그 소유권은 바로 주님에게 있다.


몸은 단지 현세로 끝나지 않는다. 몸은 내세로 연장된다. 물론 차원은 달라진다. 신령한 몸으로 부활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변화된 몸이 바로 나임을 구별해주는 연결점 역시 현재 나의 몸이다. 영원의 영역에서 나는 나로 구별될 터인데 정재우의 인격과 몸이 그 기준이 되는 것이다. 나의 몸에 대한 주님의 섭리는 깊고 오묘하다. 성령님의 내주하심으로부터 영광의 부활에 이르기까지 중생한 몸은 복되고 존귀하다. 이 은총을 기억하며 영광 돌리기를 힘써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