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욥기 2:9-10

욥 2:9-10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르되 당신이 그래도 자기의 온전함을 굳게 지키느냐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 그가 이르되 그대의 말이 한 어리석은 여자의 말 같도다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아니하겠느냐 하고 이 모든 일에 욥이 입술로 범죄하지 아니하니라



욥의 아내는 인간이 지닌 종교성의 끝을 보인다. 종교성은 신을 따르는 것 같아도 결국 그 중심은 인간 자신의 안녕에 있다. 그 안녕이 깨지면 신과의 관계도 깨지게 된다. 욥의 아내가 그 입장에 있었다. 환난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가 참 신앙에 있는지, 종교성에 있는지를 드러나게 한다.


복음적 신앙을 지녀도 환난을 어떻게 대하는가에 따라 신앙의 성숙도가 갈라진다. 치명적이거나 장기화된 고난을 겪는 사람은 욥의 아내까지는 안 가도 그 심정에 공감한다. 과연 하나님이 의지할 만한 분인지 마음이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물질세계를 사는 연약한 피조물이 지닌 한계를 넘어서는 은혜가 필요하다. 그 은혜로 근원적 의구심의 고비를 넘어설 때 비로소 영생의 핵심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욥의 아내의 말은 고난을 겪는 인간이 신에게 던져 온 항변을 대변한다. 아프리카의 기근으로부터 아우슈비츠에 이르는 고난의 불가해함이 많은 영혼을 하나님에게서 멀어지게 했다. 꼭 고난만은 아니다 . 의도한 대로 되지않는 지속적 상황도 유사효과를 지닌다. 그래서 그 항변까지는 안 가도 하나님에 대해 은근한 불만이나 거리감을 가질 수 있다. 오늘, 내 안에 그런 그림자는 없는지를 살핀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