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 2:9-10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르되 당신이 그래도 자기의 온전함을 굳게 지키느냐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 그가 이르되 그대의 말이 한 어리석은 여자의 말 같도다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아니하겠느냐 하고 이 모든 일에 욥이 입술로 범죄하지 아니하니라
욥의 아내는 인간이 지닌 종교성의 끝을 보인다. 종교성은 신을 따르는 것 같아도 결국 그 중심은 인간 자신의 안녕에 있다. 그 안녕이 깨지면 신과의 관계도 깨지게 된다. 욥의 아내가 그 입장에 있었다. 환난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가 참 신앙에 있는지, 종교성에 있는지를 드러나게 한다.
복음적 신앙을 지녀도 환난을 어떻게 대하는가에 따라 신앙의 성숙도가 갈라진다. 치명적이거나 장기화된 고난을 겪는 사람은 욥의 아내까지는 안 가도 그 심정에 공감한다. 과연 하나님이 의지할 만한 분인지 마음이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물질세계를 사는 연약한 피조물이 지닌 한계를 넘어서는 은혜가 필요하다. 그 은혜로 근원적 의구심의 고비를 넘어설 때 비로소 영생의 핵심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욥의 아내의 말은 고난을 겪는 인간이 신에게 던져 온 항변을 대변한다. 아프리카의 기근으로부터 아우슈비츠에 이르는 고난의 불가해함이 많은 영혼을 하나님에게서 멀어지게 했다. 꼭 고난만은 아니다 . 의도한 대로 되지않는 지속적 상황도 유사효과를 지닌다. 그래서 그 항변까지는 안 가도 하나님에 대해 은근한 불만이나 거리감을 가질 수 있다. 오늘, 내 안에 그런 그림자는 없는지를 살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