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전서 7:38

고전 7:38 그러므로 결혼하는 자도 잘하거니와 결혼하지 아니하는 자는 더 잘하는 것이니라


바울의 결혼관은 철저히 주님과의 관계를 우선한다. 결혼은 인간사회의 모든 제도 중 하나님께서 선제적으로 만드신 제도이다. 이를 통해 사람은 생육하고 번성하여 창조주의 뜻을 펼쳐나간다. 특히 결혼을 통해 세워진 가정은 신앙전승의 통로가 된다. 하나님과 교제하는 부모의 신앙이 자녀에게 이어지며 하나님의 문화 명령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그러기에 결혼하는 것은 잘하는 것이다. 남녀를 향한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울은 본문에서 결혼하지 않는 것이 더 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주를 향한 마음이 나누어지는 데에 대한 우려가 섞여 있다(33-34절). 하나님보다 사람이 우선하는 경우를 경계하는 것이다. 왕국시절의 이스라엘은 이런 우려가 현실화된 경우다. 가나안 사람과 통혼하지 말라는 규례를 무시하고 가정을 꾸렸다가 결국은 가나안의 우상을 섬기게 되고 그러다가 망한 경우다.


결혼은 중대사이다. 한 번의 선택이 평생을 가기 때문이다. 바울은 이 결혼 역시 복음적 세계관과 복음적 가치관의 관점으로 다루어야 함을 알려준다. 하나님과 결별한 세상의 관점이 아니라 창조주의 뜻이 담긴 진리의 관점에서 이루어야 하는 일인 것이다. 결혼이든 비혼이든 바울이 전하는 중요한 핵심은 ‘주님과의 관계’에 지장이 없게 하자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독신의 은사가 아니라면 결혼하는 것이 정석이다. 어떤 경우든 주 안에서 주님과 이루어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3:18-19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우리가 모든 일에 선하게 행하려 하므로 우리에게 선한 양심이 있는 줄을 확신하노니 내가 더 속히 너희에게 돌아가기 위하여 너희가 기도하기를 더욱 원하노라 모든 일에 선하게 하려는 것은 예수님 은혜 안에서 성령님의 도우심으로만이 가능하다. 이 동력을 성령의 감화라 한다. 주 안에서 행하는 모든 것에 기도가 필요한

히 13:1-2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 아브라함이 접대한 나그네는 천사들이었다(창 18장). 만약 아브라함이 그들을 냉대했다면 그 뒤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우선 이삭의 출생에 대한 예언부터 듣지 못했을 것이다. 생면부지의 나그네를 극진히 접대한 것은 형제 사랑에서 우러난 일

히 13:8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 2천 년 전, 하나님이 이 땅의 역사 속에, 사람들의 삶의 한 복판에 뛰어들어오셔서 위대한 대속을 이루셨다. 그 분이 예수님이시다.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시고 병든 자를 고치시며 저주를 물리치시고 죽은 자를 살리셨다. 예수님은 지금도 성령님을 통해 같은 일을 계속 행하신다. 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