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에스라 2:62

스 2:62 이 사람들은 계보 중에서 자기 이름을 찾아도 얻지 못하므로 그들을 부정하게 여겨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지 못하게 하고



귀환자 중 제사장 그룹의 명세는 중요했다. 귀환의 목적이 성전의 재건이었기 때문이다. 성전의 재건이란 성전 제사의 재건을 의미한다. 이 회복의 주체가 되는 사람들이 제사장이다. 제사장은 아론의 자손에게 낙점된 직분이었다. 그래서 계보가 중요했고, 계보가 확인되지 않은 사람은 부정하게 여겨져 직무에서 배제되었다.


아론 계열에 국한되었던 제사장 개념은 신약시대에 들어서며 외연이 확장된다. 참된 신자면 모두 제사장이 되는 것이다. 원래 제사장은 하나님과 백성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중보의 직분이었다. 구약시대에는 그 기능이 필요했지만 십자가의 은혜는 신자로 하여금 직접 은혜의 보좌 앞에 나아가는 파격을 허락했다. 이른 바, ‘만인제사장’ 개념이다. 참된 신자는 직접 기도하며, 죄를 고백하고, 참목자되신 주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파격적 은총이지만 이 직분을 유지하는 영성은 녹녹하지 않다. 구약시대 제사장은 구별된 삶을 살았고, 무흠해야 했으며, 번제단과 물두멍에서 늘 자신을 씻었고, 하늘의 불이 아닌 다른 불을 쓰면 안 되었다. 제사장직에는 특권도 있지만, 책임의 무게 또한 가볍지 않다. 베드로가 공동서신에서 신자의 제사장됨을 언급할 때는 이런 영성의 수준 유지를 전제로 했다. 구약의 계보 개념은 신약에선 데스티니의 개념으로 보면 된다. 무슨 일을 하든 그런 영성이 기본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오늘, 제사장의 영성을 새롭게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1:16-17 만물이 그에게서 창조되되 하늘과 땅에서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과 혹은 왕권들이나 주권들이나 통치자들이나 권세들이나 만물이 다 그로 말미암고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고 또한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만물이 그 안에 함께 섰느니라 오늘 본문(골 1:15-20)은 초대교회에서 자주 불리던 그리스도찬가다. 여기엔 그리스도의 위격과 권세가

골 1:7-8 이와 같이 우리와 함께 종 된 사랑하는 에바브라에게 너희가 배웠나니 그는 너희를 위한 그리스도의 신실한 일꾼이요 성령 안에서 너희 사랑을 우리에게 알린 자니라 에바브라는 옥중에서도 바울과 함께 한 신실한 사역자로서 골로새교회를 개척한 사람이었다. 바울은 골로새를 직접 방문한 적은 없었지만 에바브라가 바울이 전하는 복음을 충분히 전달했다. 그

습 3:3-4 그 가운데 방백들은 부르짖는 사자요 그의 재판장들은 이튿날까지 남겨 두는 것이 없는 저녁 이리요 그의 선지자들은 경솔하고 간사한 사람들이요 그의 제사장들은 성소를 더럽히고 율법을 범하였도다 패망을 향해 치닫는 유다 권세자들의 실상이 묘사된다. 행정부는 탐욕으로 가득했고 사법부는 교활했다. 종교인들 역시 세속화에 빠져 버렸다. 하나님의 뜻을 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