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도서 3:20~21 [12월 14일]

전 3:20-21 다 흙으로 말미암았으므로 다 흙으로 돌아가나니 다 한 곳으로 가거니와 인생들의 혼은 위로 올라가고 짐승의 혼은 아래 곧 땅으로 내려가는 줄을 누가 알랴


히브리서가 말하듯 ‘한 번 죽는 것은 정한 이치’가 되었다. 그 다음부터 사람과 짐승의 길이 갈린다. 짐승의 혼은 소멸되나 사람의 혼은 소멸되지 않는다. 짐승에겐 각혼만 있고, 사람에게만 영이 있기 때문이다. 기르던 반려견을 천국에서 다시 볼 수 없는 이유다. 사람의 영혼이 불멸이지만 그 역시 길이 갈린다. 영생 천국이냐 영벌 지옥이냐이다.


영벌이 부담되어 영혼의 소멸론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일정 기간 지옥의 형벌을 받은 후 소멸된다는 것이다. 명백히 비성경적 관점이다. 성경은 어디에도 소멸론을 말하지 않는다. 영원하신 왕을 거역한 죄는 그 무게가 가볍지 않다.


짧은 인생을 잘 간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끝없는 영원을 준비하는 것은 더 중요하다. 그것은 마치 학창시절의 성과에 따라 졸업 이후의 기나긴 삶의 질이 결정되는 것과 유사하다. 파스칼은 이 대목에서 내기를 걸었다. 만일 죽음 뒤에 진짜 천국과 지옥이 갈린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후회없는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이다. 사실 파스칼은 믿은 사람이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