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25:31~32

창 25:31-32 야곱이 이르되 형의 장자의 명분을 오늘 내게 팔라 에서가 이르되 내가 죽게 되었으니 이 장자의 명분이 내게 무엇이 유익하리요


이삭의 가족들은 내내 장자의 명분 때문에 고충을 겪는다. 장자로 태어난 에서는 그 명분을 소홀히 여겼고, 둘째로 태어난 야곱은 열렬히 사모했다. 야곱은 태생부터 정해진 그 서열을 뒤집으려고 전력을 기울인다. 상식적으로는 말도 안 되는 일이었다. 태생부터 숙명이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야곱은 포기하지 않는다. 많은 긴장과 갈등이 야기된다.


이스라엘의 장자권은 대통을 잇고 제사를 주재하며 유업을 물려받는 대표권을 지닌다. 이때문에 장자에게는 두 몫이 주어졌다(신 21:17). 야곱에게 중요한 건 재산보다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유업의 약속이었다. 상식적으로 그 약속이 장자의 계보를 통해 이어진다고 보아 장자권에 집착하게 된 것이다. 반면 에서는 그 권리와 축복을 가볍게 여겼다.


장자권을 얻으려 했던 야곱의 방식들은 분명 잘못됐다. 그러나 장자권을 향한 그의 갈망은 대단했다. 이를 위해 야곱은 태생적 한계라는 숙명의 장벽을 넘는 시도를 한다. 갈망이 한계를 앞섰다. 나는 이 갈망이 야곱이 어린 자임에도 큰 자로부터 섬김을 받게 된 근원이라 여겨진다(23절). 야곱을 향한 선택은 하나님의 주권이지만 살펴보면 근거가 있다.


영생에 대한 나의 갈망은 어떨까. 현실적 필요 때문에 영생의 명분을 가볍게 여기는 길은 가지 말아야 한다. 특히 예배는 갈망을 나타내는 주된 통로이다. 이삭 밑에서 야곱과 에서가 갈리듯, 오늘날도 교회 안에서 야곱과 에서가 갈린다. 갈망이 현실적 필요보다 앞서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현실에 밀리고, 자꾸 밀리다보면 에서처럼 된다. 깨어 경성해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