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전서 15:52~53

고전 15:52-53 나팔 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아나고 우리도 변화되리라 이 썩을 것이 반드시 썩지 아니할 것을 입겠고 이 죽을 것이 죽지 아니함을 입으리로다


앞서 언급된 씨앗과 열매 논증은 우리 주변에 부활의 비약에 버금가는 현상이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지고 보면 자연 현상중에 비약의 과정 없이 생성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은 없다. 나타나는 이치를 그대로 받아들여서 그렇지, 하나하나가 창조주의 경륜이 담긴 경이로움을 지니고 있다. 모든 만물에 하나님의 능력과 신성이 깃들어있는 것이다.


바울은 죽음과 죽음 건너편, 물리와 영리 사이에도 이같은 비약이 존재함을 선언한다. 하나님의 지혜는 깊고 부요하며 하나님의 경륜은 시간을 넘어 영원에까지 장대하다. 분명한 것은 이 세상이 다가 아니며 죽음으로 모든 것이 소멸되는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서 주의 일을 하는 것은 영원히 남는 일을 하는 것이다. 결코 헛되지 않다.


예수님은 부활을 소망하는 삶의 모범을 보여주셨다. 예수님은 세상이나 세상의 여러 사건에 기죽으신 적이 없다. 묵묵히 부활 이후를 예비하시며 주어진 데스티니를 성실히 이루어가셨다. 성령 안에서 무죄하신 영혼을 통해 하나님의 관점으로 모든 사안을 다루셨다. 예수님처럼 완벽할 수는 없어도 성령충만은 흠결많은 신자의 내면에서 이런 은총을 확장시켜 부활의 확신과 소망으로 세상사를 담대하고 평온하게 다루게 한다. 오늘도 그 은총을 사모하며 간구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