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전서 7:15

고전 7:15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애될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


본문은 기혼상태에서 중생한 고린도 교인들 가운데 신앙으로 인해 불화를 겪는 가정을 향한 가이드이다. 비신자인 배우자가 신앙에 대해 핍박하거나 신앙으로 인해 갈라서기를 원한다면 갈리게 하라는 지침이다. 예컨대 비신자 배우자가 자기와 살려면 하나님을 버리라고 강요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당시 다신교 사회에서 우상숭배에 쩔은 배우자가 교회를 다니게 된 배우자에게 보일 수 현상인데 그런 경우에 대한 가이드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바울은 화평을 권한다. 중생한 배우자가 자기를 부인하고 성령충만한 영성에서 오는 사랑으로 행한다면 강포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얼마든지 감화를 줄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서 회심한 사례들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믿게 된 자는 ‘선교사적 마인드’를 가지고 가정복음화에 임하는 것이 최선이다. 험지를 찾아가 비신자들을 회심시키려고 애쓰는 선교사들의 헌신과 인내를 참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본문이 지닌 핵심은 분명하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우선이요 최선이라는 점이다. 인간관계로 인해 진리를 거부하거나 외면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취지다. 예수님은 당신으로 인해 부모와 자식이 갈라지고 형제와 형제가 갈라질 것을 예고하셨다(눅 21:16). 진리로 인해 관용과 사랑을 나누지만 진리로 인해 결코 ‘양보해서는 안되는 지점’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종교성이나 기복성은 환난이나 핍박에 무너지기 쉽지만 참된 영성은 결코 무너지지 않는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