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에스라 7:10

스 7:10 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었더라


스룹바벨의 1차 귀환 후 80여 년이 흐른 뒤, 에스라의 2차 귀환이 이루어진다. 에스라는 아론의 직계 후손으로 율법을 가르치는 학자였다. 아닥사스다의 총애를 받았지만, 어느 날 소명을 깨달으면서 그는 왕의 측근으로서의 특권이나 편안함을 내려놓고 이스라엘의 영성회복에 나선다.


성전이 거룩한 것은 거룩하신 하나님 때문이다. 하나님의 임재가 없다면 성전은 한낱 건물에 불과할 뿐이다. 하나님의 임재는 필요 조건이 있다. 예배가 있되 영과 진리의 예배여야 하며, 섬김이 있되 혼합된 마음이 아닌 일편단심의 사랑이어야 한다. 이점에서 이스라엘은 뼈아픈 실패를 했었다. 그 때 예루살렘은 성전과 우상이 함께 공존했다. 제사장은 타락하고 선지자는 평안만을 외쳤으며 제사는 형식에 그쳤다. 여호와 하나님은 그 성전을 떠나셨다.


율법학자였던 에스라의 등장은 영성의 회복이 핵심이다. 본격적 묵상이 에스라 때부터 시작된다. 그는 성경을 1년 52주, 주간단위로 나누어 묵상을 강조했다. 이른바 ‘토라포션’(Torah Portion)이다. 이후로 이스라엘은 다시는 우상숭배의 길을 가지 않는다. 그 덕에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거부한 탓에 많은 고초를 겪으면서도 세계를 주물럭거리는 실세 자리에 많이 어른거리게 되었다. 우연이 아니다. 그들은 신명기 28장의 빛과 어두움을 모두 겪어보는 셈이다. 부단히 말씀을 묵상하고 가르침을 받으며 적용에 힘써야 한다. 강권하시는 성령님의 도우심을구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