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7:20


눅 7:20 그들이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세례 요한이 우리를 보내어 당신께 여쭈어 보라고 하기를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니이까 우리가 다른 이를 기다리오리이까 하더이다 하니



투옥된 세례 요한은 예수님이 과연 고대하던 메시아인지 궁금했다. 그래서 제자들을 보내어 단도직입적으로 묻게 한다. 이 상황은 요한이 예수님에 대해 일말의 의구심을 가졌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그의 메시아관은 구원보다 심판 쪽에 기울었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의 행적에는 심판이나 혁명의 기운이 보이지 않았다. 기대한 바와 달랐다.


예수님은 이사야의 예언을 근거로 메시아가 행하는 일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리면서 당신이 바로 ‘오실 그이’임을 전한다. 요한은 사람을 보내기 전에 먼저 성경을 봤어야 했다. 메시아에 대한 많은 예언들을 종합했다면 말씀을 통해서 예수님이 바로 ‘그 이’임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고정관념은 이렇게 뿌리깊게 영향을 미친다. 내게도 그런 부분이 없지 않을 것이다. 성경을 읽어도 해석과 적용의 과정에서 고정관념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령님의 조명이 필수이다.


여전히 질문을 시도한 점은 잘한 일이다. 메시아로부터 직접 답을 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구약성경에 바탕한 답이었다. 예수님은 성경을 생각나게 하셨다. 오늘날 예수님과 똑같은 일을 하시는 분이 성령님이시다. 성령님은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을 생각나게 하시는 분’이시다(요 14:26). 질문하는 영성이 귀하다. 이후로 세례 요한의 마음은 편했을 것이다. 답을 들으며 확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질문을 드리고 집중하면 주님은 반응하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