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욥기 11:12

욥 11:12 허망한 사람은 지각이 없나니 그의 출생함이 들나귀 새끼 같으니라



들나귀는 조건반사로 사는 동물이다. 조건의 호불호가 관건이다. 사람중에도 그 선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소발은 그런 사람을 허망한 사람이라 부르고 있다. 그럼 지각있는 사람은 어떻게 할까. 그는 조건의 이면을 보려한다. 단지 호불호가 아니라 왜 호이며 왜 불호인지를 묻는다.


그런 탐구에 따라 불호도 호로 생각하거나 기회로 여긴다. 신앙인은 한걸음 더 나간다. 즉 감사하는 것이다. 불호의 대표적 조건은 고난이다. 지각있는 사람은 고난을 싫다고만 하지 않고, 고난에 뜻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고난 속에서 뜻을 캐낸다. 자신이 변화되거나 아니면 주변을 변화시킨다.


이 상황이 나의 변화를 요청하는 것인지, 아니면 주변을 변화시키라는 것인지, 아니면 둘 다 일지 지각함이 중요하다. 이는 죄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생각을 묻는 것이다. 그래서 성령님과 함께 모든 사안을 다루려는 습관이 중요하다. 내 생각만이 아닌 주님 생각을 헤아리려는 차원이다. 신앙인은 혼자가 아니다. 성령께서 엄마처럼, 스승처럼, 변호사처럼 챙겨주는 사람이다. 난 혼자가 아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