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11:29-31

삿 11:29-31 이에 여호와의 영이 입다에게 임하시니 입다가 길르앗과 므낫세를 지나서 길르앗의 미스베에 이르고 길르앗의 미스베에서부터 암몬 자손에게로 나아갈 때에 그가 여호와께 서원하여 이르되 주께서 과연 암몬 자손을 내 손에 넘겨 주시면 내가 암몬 자손에게서 평안히 돌아올 때에 누구든지 내 집 문에서 나와서 나를 영접하는 그는 여호와께 돌릴 것이니 내가 그를 번제물로 드리겠나이다 하니라



여호와의 영이 이전의 사사들에게 그랬듯 입다에게도 임하신다. 차별받던 서자로 시정잡배들과 어울렸던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하나님께서 보시는 어떤 바탕이 있었던 거 같다. 암몬과의 담판에서 보았듯 정확한 역사의식과 담대함 등이다. 이는 그가 신분에 관계없이 하나님과 선민의식에 대한 구별된 생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그는 율법을 충분히 알지못한 데서 온 잘못된 서원을 드린다. 이 때문에 그는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딸을 번제물로 바치는 슬픔을 겪는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보다 이방 인신제사의 영향을 받은 서원이었다. 유대문헌인 미드라쉬는 그가 토라를 알지 못했음이라고 규정했다. 아울러 서원은 감사에 바탕함이 원칙이다. 입다의 서원은 거래 개념에 바탕했다. 승리가 기쁨이 되지 못한 사유들이다.


말씀을 잘 알지 못하면 나머지 부분은 세상의 풍조로 채워지기 쉽다. 이런 부분들이 오류를 범하게 한다. 여호와의 영이 임하고 그 덕으로 승리를 얻었지만 근본적인 취약점에 대한 짐은 피할 수 없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 신앙의 길을 가면서도 여러가지 환난들을 함께 겪는 이유다. 입다는 말씀을 충분히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려주는 반면교사다. 말씀에 비추어 내 판단의 기준들이 지닌 허실들을 분별하는 자기점검이 늘 필요하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