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8:1-2

삿 8:1-2 에브라임 사람들이 기드온에게 이르되 네가 미디안과 싸우러 갈 때에 우리를 부르지 아니하였으니 우리를 이같이 대접함은 어찌 됨이냐 하고 그와 크게 다투는지라 기드온이 그들에게 이르되 내가 이제 행한 일이 너희가 한 것에 비교되겠느냐 에브라임의 끝물 포도가 아비에셀의 맏물 포도보다 낫지 아니하냐



미디안 잔당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에브라임지파가 불만을 쏟아낸다. 뒤늦게 합류한 에브라임의 공로는 작지 않았다. 미디안의 퇴로를 차단하며 두 방백 오렙과 스엡을 제거했다. 그리고는 처음부터 협조를 구하지 않은데 대해 서운함이 있었던 것이다. 어느 정도는 정치적인 계산이다. 이에 기드온이 겸손을 보인다. 에브라임을 추켜세우며 자신을 낮춤으로 갈등을 해결한다. 겸손은 항상 유익하다.


에브라임과 기드온이 속한 므낫세지파는 요셉의 두 아들에게서 나왔다. 원래 므낫세가 장남이었지만 야곱이 에브라임에게 장자의 복을 주면서 지파의 입지가 달라졌다. 가나안 정복을 지휘한 여호수아가 에브라임지파였으니 전통적으로 그들의 자부심은 대단했다. 그렇다해도 지금 상황에선 서운함보다 서로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연대가 필요했다. 그런 부분들이 모자란 이스라엘의 성정들이 엿보인다.


다행스럽게도 기드온은 스스로를 낮춤으로 연대를 유지한다. 어떤 형태로든 낮아지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지금처럼 승세를 몰아가고 있는 상황에선 더욱 그렇다. 그러나 기드온은 한 걸음 물러선다. 잘한 일이다. 최고의 겸손을 예수님에게서 본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마 11:29) 내게 배우라 하신다. 예수님을 닮아야 하는 나다. 성령 안에서 겸손의 길을 가야 한다. 낮아짐도 훈련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