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37:19-20 [22.10.19]

창 37:19-20 서로 이르되 꿈 꾸는 자가 오는도다 자, 그를 죽여 한 구덩이에 던지고 우리가 말하기를 악한 짐승이 그를 잡아먹었다 하자 그의 꿈이 어떻게 되는지를 우리가 볼 것이니라 하는지라

요셉은 가족들마저 그에게 절할 만한 자리에 오를 것을 암시하는 꿈을 꾼다. 이 꿈 이야기를 들은 형들은 반감을 가진다. 요셉에 대한 아버지의 편애 때문에 불만이 가득한 형들에게 꿈 이야기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된다. 요셉은 생각지 않은 형들의 공격을 받으며 위기에 처한다.

차별감은 그것이 은근할지라도, 심지어 숙명적인 성격을 지녔더라도 그것을 겪는 사람의 내면에 생각보다 치명상을 입힌다. 그 상처가 깊어지면 가학성, 내지 피학성 현상이 나타난다. 가학성은 공격으로 나타난다. 요셉의 형들이 그랬고 역사적으로는 반유대주의가 그렇다. 피학성은 신경증으로 나타난다. 은둔형인 ‘히키코모리’가 대표적이다.

본문은 자녀를 양육하거나 사람들을 대할 때 차별없이 존중하기를 권한다. 아버지로서의 야곱은 여기에 실패했다. 애정의 표시였던 채색 옷이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요셉의 경우 하나님께서 모든 소재를 엮어 선이 되게 하셔서 그렇지, 세상에서는 그 갈등이 비극으로 끝나는 경우도 허다하다. 가정이든 공동체이든 사람의 마음을 잘 헤아려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