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32:11-12 [22.10.08]

창 32:11-12 내가 주께 간구하오니 내 형의 손에서, 에서의 손에서 나를 건져내시옵소서 내가 그를 두려워함은 그가 와서 나와 내 처자들을 칠까 겁이 나기 때문이니이다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반드시 네게 은혜를 베풀어 네 씨로 바다의 셀 수 없는 모래와 같이 많게 하리라 하셨나이다


이십 년 내내 마음에 담겨 있던 에서에 대한 두려움을 토로한다. 에서 역시 괘씸하다 못해 원수가 되어버린 야곱의 귀향 소식을 듣고는 사병을 동원하여 야곱을 향한다. 야곱의 귀향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를 알 턱이 없는 에서 입장에선 선전포고처럼 여겨졌을 가능성이 크다. 형제지간에 피바람이 불 수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야곱은 처절하게 약속을 붙든다. 그러면서도 조바심과 두려움에 휩싸인 마음을 가누지 못해 힘들어 한다. 결국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야곱은 많은 마음 고생을 한다. 약속과 현실 사이의 현격한 격차를 신실하심으로 메꾸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뢰가 약한 까닭이었다. 그래서 들었는데도 힘들어 하고 붙들면서도 두려워한다.


저지른 게 많은 탓이다. 환경에 민감한 인간의 근본적 연약함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하나님을 지향하면서도 덕을 세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제 하나님은 이 약점에 직면하게 하신다. 약속의 성취를 위해서, 야곱의 깊은 변화를 위해서 맞닥뜨리게 하신다. 직면은 기회이며 은총이다. 피하지 말고 전가하지 말고 기어이 넘어가보라 하시는 것이다. 약속을 붙드는 애씀은 언제나 옳다. 마음은 복잡할지라도 여전히 하나님의 약속이 길이며 출구이기 때문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