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10:31

창 10:31 이들은 셈의 자손이니 그 족속과 언어와 지방과 나라대로였더라


노아의 후손들이 번성하는 과정이 유사하다. 족속과 언어와 지방과 나라대로였다. 언어가 나뉜 때가 바벨탑 사건이므로 이 족보의 형성에는 꽤 긴 시간이 지났다고 보아야 한다. 저주를 받은 함의 후손이 번성한 사실은 하나님의 일반은총을 증거한다. 이스마엘과 에서의 후손들을 번성케 하신 구도와 같다. 하나님은 여전히 기회를 주시고 계신 것이다.


세상에서의 번성은 양면성을 지닌다. 한 편으론 기회이며, 또 한 편으론 위기이다. 그 번성의 동기와 용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운명은 달라진다. 본디 피조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기본 의도는 저주가 아니라 축복이었다. 번성과 형통은 땅과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뜻이었고 천국 지점과도 같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하나님의 계획이었다.


죄로 인해 손상된 하나님의 의도는 십자가의 대속으로 복원되었다. 세상의 번성은 그 자체로 하나의 교보재가 된다. 동물들과 완전히 다른 차원의 인간의 문화환경은 그 특수성때문에 능히 거대 질문의 주제가 될 수 있다. 어떻게 이렇게 인간만이 유별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다보면 창조로 돌아가고, 창조주에로 귀결되는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이다. 문화적 번성을 보면서 어디에서 와서 무엇때문에 살며 어디로 가는지를 생각하며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