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 38:8

출 38:8 그가 놋으로 물두멍을 만들고 그 받침도 놋으로 하였으니 곧 회막 문에서 수종드는 여인들의 거울로 만들었더라



성막의 뜰에는 번제단과 물두멍을 만들어 두었다. 번제단은 속죄를 위해 희생제물을 태우는 곳이고 물두멍은 제사장들이 수족을 씻는 곳이다. 물두멍은 회막 문에서 수종드는 여인의 거울을 녹여 만들었다. 고대사회에서 여인들은 화장을 할 때 놋거울을 사용했다. 거울은 자신을 보게 한다. 어떻게 생겼는지, 무엇이 묻었는지, 혹은 어떻게 화장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제사장들은 놋거울로 만든 물두멍 앞에 설 때마다 자신을 보았다. 성막의 바닥은 맨 땅이었다. 한 쪽에는 끊임없이 죽임당하는 희생 동물들의 피가 흘렀고, 번제단에서는 불에 태운 희생 제물들의 재가 공중에 날렸다. 수족을 씻지 않으면 정결하게 될 수 없는 환경이었다. 성소의 임재에 들어가는 제사장들은 물두멍에 비친 모습을 보고 깨끗하게 씻었다.


은정이 추구하는 영성 중의 하나가 물두멍 영성, 즉 묵상의 영성이다. 물두멍 앞에서 정결의 상태를 분별하듯, 묵상은 말씀 앞에서 영혼의 상태를 살피게 한다. 수족을 씻어야 성소에 들어 갈 수 있었던 것처럼 묵상은 성결과 경건의 자리에 들게 한다. 하나님을 가까이 할 수 있는 은혜가 열린다.


종교성으로 하나님을 대할 수 있고 영성으로 하나님을 대할 수 있다. 종교성은 성막 주변이나 뜰에까지 출입이 가능한 거 같다. 성소에 들어가게 하는 것은 영성이다. 묵상은 좋은 영성을 만든다. 하나님은 주야로 묵상하라 하셨다. 묵상은 온전케 되는 길이며 축복의 길이다. 오늘도 그 길을 계속 걷는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