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17년 5월 6일


 

룻 3:12 참으로 나는 기업을 무를 자이나 기업 무를 자로서 나보다 더 가까운 사람이 있으니'기업무를 자', 히브리어로 '고엘'이라고 합니다. 가난때문에 팔려나간 친족의 재산을 회복시켜주는 사람인데 죽은 친족의 부인을 아내로 맞이하여 낳은 자식에게 회복한 재산을 물려줌으로써 책임을 다합니다만 정작 본인 앞으로 돌아오는 것은 없는 '공동체를 위한 헌신행위'를 하는 사람입니다. 한 밤 중 프로포즈를 해온 룻에게 보아스는 더 가까운 친족이 있음을 알려주며 신중한 모습을 보입니다. 만일 더 가까운 친족이 기업무르기를 포기하면 자신이 반드시 그 책임을 다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말입니다.보아스는 신중함과 절제를 보여줍니다. 육신의 소욕보다 성령의 소욕이 앞선 사람입니다. 하나만 보지않고 둘,셋까지 헤아리는 사람입니다. 만일 더 가까운 친족이 기업무르겠다고 나서게 되면 룻과는 인연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어찌보면 룻과의 인연을 주님 발치에 의탁하는 것과 같습니다. 기드온식으로 표현하자면 표징을 구하는 것과 같지요. 나오미가 보아스보다 더 가까운 친족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리 없었을텐데도 룻으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대쉬하게 한 것은 이와같은 보아스의 인격이나 영성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일 것입니다.돌이키면 한 번 더 깊이 생각해보거나 한 번 더 주님 의향을 확인한 뒤에 행동에 옮겼다면 얼마나 좋았을까하는 때가 있지요. 그 때는 마치 여건이 성숙할대로 성숙한 것처럼 생각되어 액션! 했는데 지나고보니 앞섰거나 아니면 깊이 헤아리지않은 부족함이 있었던 경우입니다. 그리고 그 일들은 대부분 신중하지 못한 대가를 치루게 만들었구요. 보아스는 건덕(덕을 세움)의 영성이 자리잡은 사람이었습니다. 자신에게도, 상대에게도, 공동체에게도. 나만이 아니라 여럿이 연관된 일 일수록.. 한 번 더, 말씀을 생각하고. 한 번 더 주님의 의중을 확인하며 건덕의 길을 가도록 힘쓰렵니다..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