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무엘하 22:22-23ㅣ5월 26일


삼하 22:22-23 이는 내가 여호와의 도를 지키고 악을 행함으로 내 하나님을 떠나지 아니하였으며 그의 모든 법도를 내 앞에 두고 그의 규례를 버리지 아니하였음이로다


다윗이 종점 부근에서 자신의 삶을 돌이켜 이렇게 정리할 수 있었다는 것은 오점에도 불구하고 늘 최선을 다했다는 걸 의미한다. 실정법 위에 자연법이 있지만, 그 자연법보다 더 높은 법이 하나님의 법이다. 다윗은 그를 ‘여호와의 도’로 표현했다. 그 도, 즉 그 길을 벗어나는 것은 하나님을 떠나는 것이다. 그것은 창조주와 불화한 상태가 된다는 뜻이다.


하나님의 법도를 자기 앞에 두었다는 것은 하나님의 뜻을 의중에 두었다는 것이다. 다음 절에서 다윗은 하나님 앞에서 완전하였음을 선언한다. 그 완전은 완벽이기보다 갈망과 최선을 뜻한다. 요한 웨슬레가 ‘기독자의 완전’(christian prefection)을 추구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스도의 은혜를 바탕으로 ‘의도의 순수성과 감정의 순수성‘이 훼손되지 않은 최선의 선택을 유지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나로 규례를 버리지 않게 하셨다. 평생 내 하나님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