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23:22~23

눅 23:22-23 빌라도가 세 번째 말하되 이 사람이 무슨 악한 일을 하였느냐 나는 그에게서 죽일 죄를 찾지 못하였나니 때려서 놓으리라 하니 그들이 큰 소리로 재촉하여 십자가에 못 박기를 구하니 그들의 소리가 이긴지라



세상은 빌라도 수준의 공의로 다스려지는 거 같다. 무리의 소리, 즉 여론이 사실상 실세다. 오류가 진리를 가리더라도 여론이 우세하면 그 기세로 정의의 수준을 조작한다. 그리고 정의를 집행하는 공의 역시 그 수준에 머무른다. 한 쪽에서는 탄식하며 호소하지만, 우세한 쪽의 공격과 선동에 당한다. 빌라도 수준의 공의란 타락하고 부조리한 공의다.


빌라도 수준의 공의란 어느 정도 양심이 작용하지만 결국은 타락한 현실에 무너지는 공의를 말한다. 여기서는 강한 소리를 가진 무리가 우세하다. 이 무리들에겐 자신의 욕망과 이득이 우선이다. 진리는 참조할 뿐 반영하지 않는다. 이것이 참된 신자가 맞닥뜨려야 하는 세상의 속성이다. 별종처럼 살기로 작정하지 않으면 중심을 지키기 힘든 곳이다.


그러나 가치관과 세계관이 거듭나면 얼마든지 감당할 수 있는 곳이 세상이다. 진리로 거듭난 영혼은 하나님 나라와 연결되고 진리에 바탕한 삶을 살려 할 때 하나님의 나라가 개입한다. 당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았던 세상은 이후로 변한다. 곳곳마다 교회가 세워지고 예수님을 경배하는 무리들이 불어났다. 그 때엔 세상 무리가 이긴 것 같았지만 오히려 역전이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세상 무리의 소리에 기 죽을 일이 아닌 것이다. 내 안 계신 이가 세상보다 크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