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29:42

출 29:42 이는 너희가 대대로 여호와 앞 회막 문에서 늘 드릴 번제라 내가 거기서 너희와 만나고 네게 말하리라



아침 저녁으로 드리는 상번제의 규례다. 상번제는 속죄보다 교제에 초점이 있다. 여호와를 생각하며 그 하루를 의탁하고 안식의 시간 또한 여호와께 의뢰하는 패턴이다. 상번제의 패턴은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으로 돌아가는 일상을 의미한다. 아무리 바빠도, 어떤 일이 생겨도 이 패턴은 지켜져야 했다. 하나님과 교제하며 이끄심을 받는 영역으로 진입하는 궤도이기때문이다.


오늘날로 치면 습관적 묵상과 기도로 이루는 경건이라 할 수 있다. 아무리 바빠도, 어떤 일이 생겨도 이런 경건의 습관은 지켜야 한다. 하나님의 임재를 사는 길이기 때문이다. 마틴 루터는 매우 분주했지만 바쁘기 때문에 더욱 기도한다고 말했다. 기도하지 않고서는 종교개혁이라는 엄청난 일을 감당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담대함과 지혜는 경건에서 우러나왔다.


경건은 무엇을 얻기 위한 시간이기보다 함께 하려는 교제의 시간이다. 상번제의 의미와 같다. 속죄제나 속건제같은 제사법은 고유한 목적이 있지만 상번제는 의탁을 표시하는 교제의 예식이다. 매일의 경건은 하나님을 알게 된 사람이 취할 수 밖에 없는 존중의 습관이다. 하나님은 늘 존중받고 싶어하신다. 원래 모든 인간이 그랬어야 했다. 오늘도 하나님은 나로부터 존중받기를 기대하신다. 늘 상번제의 자리에 서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