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로마서 7:18-19

롬 7:18-19 내 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아니하는 줄을 아노니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노라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하지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는도다

하나님의 기준을 알려주는 율법은 의로우며 선하다. 문제는 그 율법 앞에 선 나다. 율법을 모를 때는 뭐가 죄인지 막연했다. 세상의 실정법에 크게 어긋나지 않으면 괜찮은 인생을 산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다가 하나님과 하나님의 법을 알게 되면서 좌절이 왔다. 죄의 깊이와 폭은 생각보다 깊고 넓었다. 하지 말라는 것을 범한 죄와 해야 할 것을 게을리 한 죄가 태산같았다.

법원에 가면 정의의 여신이 저울을 들고 있는 동상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 손에는 법전을, 한 손에는 저울을 들고 죄의 무게를 재는 형상이다. 하나님의 법 앞에서 나의 행적을 저울에 올린다면 나의 존재는 그 자체로 끔찍한 재앙이다. 하나님의 은혜를 알고 난 다음에도 본성적 연약함에 휘둘리면서 본문의 바울처럼 이율배반적으로 쌓은 죄업을 생각하면 하나님 앞에서 몸 둘 데가 없다.

바울 때는 율법을 주로 언급했지만 이제 나에겐 산상수훈이 더해졌다. 산상수훈은 내면과 동기를 검색한다. 더 설 자리가 없게 한다. 선을 알고 행하기도 원하지만 단지 그 뿐, 절감한 것은 선을 행할 능력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선을 행하려면 내 능력이 아닌 나를 넘어선 능력이 필요했다. 십자가와 성령이 절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은혜가 아니면 나는 하나님 앞에 갈 수도 없고 설 수도 없다. 오늘도 십자가 은혜 단단히 붙잡고 성령님 의지하며 하루 걸음을 내딛는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