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9:14-15

창 9:14-15 내가 구름으로 땅을 덮을 때에 무지개가 구름 속에 나타나면 내가 나와 너희와 및 육체를 가진 모든 생물 사이의 내 언약을 기억하리니 다시는 물이 모든 육체를 멸하는 홍수가 되지 아니할지라


불은 타고 나면 재라도 남지만 물이 지나간 자리에는 남아 있는 게 없다는 말이 있다. 자연세계가 사람으로 인해 끔찍한 연대책임을 지는 것이 부담이 되셨을까. 하나님은 다시는 물로 세상을 심판하지 않기로 작정하셨다. 그 징표로 무지개가 뜨게 하셨다. 사람들이 다시 죄를 범치 않으리란 보장이 없음에도 하나님은 스스로 활동을 제한하셨다.


무지개는 사람보다도 하나님을 향한 기억 장치(reminder)였다. 노아를 향한 언약은 홍수에 대한 인류의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약재가 되었다. 무지개가 가르쳐주는 분명한 사실은 전 지구적 차원에서 결코 노아 홍수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 언약은 사람의 반응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하나님께서 은혜로 설정하신 것이다.


특별한 자연 현상 하나도 이런 은혜를 담고 있다면 하나님의 아들의 피가 묻은 십자가는 더욱 대단할 수 밖에 없다. 십자가의 언약은 그 언약을 붙드는 자에게 죄와 저주가 철폐되고 지옥문을 닫게 하는 은혜를 누리게 한다. 단지 심판의 면제만이 아니다. 영원한 축복이 활짝 열리게 한다. 무지개가 감사하지만 십자가에 비할 바 못 된다. 믿는 마음으로 십자가를 바라보면 십자가에 담긴 약속이 풀어지기 시작한다. 하나님은 십자가 언약 앞에 꼼짝 못하시는 거 같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