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8:20 노아가 여호와께 제단을 쌓고 모든 정결한 짐승과 모든 정결한 새 중에서 제물을 취하여 번제로 제단에 드렸더니
방주에서 나온 노아는 곧바로 희생제물을 취하여 번제를 드린다. 제물의 죽음은 대속을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전, 하나님의 은총을 입은 사람은 희생의 제사를 통해 하나님께 용납되었다. 그 시초는 타락한 아담의 몸을 가리우기 위해 가죽 옷을 마련하시던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사는 은혜를 구하는 통로요 은혜를 풀어내는 하늘의 통로다.
거대한 홍수가 무자비하게 휩쓸고 지나간 땅은 보기에도 심란했을 것이다. 환경적으로 생존과 생계에 대한 염려, 두려움과 걱정 등 복합적 소회가 노아 일가의 마음을 눌렀을 수 있다. 노아는 그 시점에서 제사를 드렸다. 이는 예배 우선의 마음이며 절대의존의 표시이다. 모든 상황 속에서 예배자는 마음만이 아니라 예배의 실행 자체도 중요하다.
제물이 된 정결한 짐승과 정결한 새는 땅에 내리자마자 죽임을 당한다. 그들의 데스티니는 제사, 곧 예배였다. 오래 사는 것보다 중요한 게 있다. 데스티니를 이루는 것이다. 아벨은 예배를 잘 드린 까닭에 일찍 죽임을 당했다. 열납될만한 예배를 드림이 아벨의 데스티니였다. 희생 제물만이 아니라 그 자신이 산 제물처럼 드려진 셈이다. 히브리서에서 그는 의인으로 평가된다(히 11:4). 하루 해와 모든 일을 예배로 시작함이 얼마나 은혜인가. 가장 지혜로운 처신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