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7:37-38


눅 7:37-38 그 동네에 죄를 지은 한 여자가 있어 예수께서 바리새인의 집에 앉아 계심을 알고 향유 담은 옥합을 가지고 와서 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고 자기 머리털로 닦고 그 발에 입맞추고 향유를 부으니



예수님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가 역력히 드러나는 본문이다. ‘죄를 지은 한 여자’와 ‘바리새인’의 모습이다. 그 여자는 울며 자신의 머리털로 예수님의 발을 닦는다. 예수께서 죄의 빚을 청산해주셨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신학자들은 이 여인이 앞서 복음을 들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여인의 애통함에 비해 바리새인에게선 자신감이 엿보인다. 느긋하다.


이는 십자가를 대하는 현대인들의 태도와 유사하다. 십자가 앞에서 눈물 짓는 이가 있는가하면 십자가 앞에서 느긋한 사람들도 있다. 죄의 빚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사람이 있는가하면 실감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모든 신자는 이 여인과 바리새인 시몬 사이 그 어디쯤 자리한다. 나는 어떨까. 나는 여자 쪽인가 시몬 쪽인가. 아니면 오락가락인가.


빚을 탕감받았다고 여기는 자는 옥합을 깨어 향유를 붓는다. 단지 지식에서 끝나지 않는다. 애통함과 감사한 마음이 있고 그에 따른 예배와 섬김이 있다. 물론 종교성에 바탕한 예배도 있다. 바리새인들이 그랬다. 그래서 애통함으로 긍휼을 바라며 드리는 예배가 진정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오늘의 현장은 예배의 현장을 대변한다. 눈물이 은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2:14-15 우리를 거스르고 불리하게 하는 법조문으로 쓴 증서를 지우시고 제하여 버리사 십자가에 못 박으시고 통치자들과 권세들을 무력화하여 드러내어 구경거리로 삼으시고 십자가로 그들을 이기셨느니라 복음은 속죄의 은총을 넘어 세계관의 변혁을 요구한다. 복음은 율법으로 하나님께 다가가려는 인간의 시도가 턱없음을 알려준다. 복음은 통치자와 권세들, 즉 타락

골 1:16-17 만물이 그에게서 창조되되 하늘과 땅에서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과 혹은 왕권들이나 주권들이나 통치자들이나 권세들이나 만물이 다 그로 말미암고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고 또한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만물이 그 안에 함께 섰느니라 오늘 본문(골 1:15-20)은 초대교회에서 자주 불리던 그리스도찬가다. 여기엔 그리스도의 위격과 권세가

골 1:7-8 이와 같이 우리와 함께 종 된 사랑하는 에바브라에게 너희가 배웠나니 그는 너희를 위한 그리스도의 신실한 일꾼이요 성령 안에서 너희 사랑을 우리에게 알린 자니라 에바브라는 옥중에서도 바울과 함께 한 신실한 사역자로서 골로새교회를 개척한 사람이었다. 바울은 골로새를 직접 방문한 적은 없었지만 에바브라가 바울이 전하는 복음을 충분히 전달했다. 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