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욥기 35:9~10


욥 35:9-10 사람은 학대가 많으므로 부르짖으며 군주들의 힘에 눌려 소리치나 나를 지으신 하나님은 어디 계시냐고 하며 밤에 노래를 주시는 자가 어디 계시냐고 말하는 자가 없구나



세상에는 군주들의 파워가 횡행한다. 정치만이 아니라 재계에도 정치권력 못지않은 위계가 작동하며 심지어 인문 계열이라도 문화권력은 엄연히 존재한다. 민주화로 인해 계급제도가 사라졌지만 사실상 예전의 반상제도 못지않은 차별과 격차는 돈과 힘에 의해 인간사에 여전히 작동하며 그 힘에 눌려 탄식을 뿜어내는 사람들이 한 둘이 아니다.


어두운 밤과 같은 현실로 인해 내면에선 소리없는 아우성이 가득하면서도 정작 창조자를 찾는 이는 많지 않다. 이는 영적 이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창조와 인간의 타락, 그로 인해 생긴 파행 등.. 이치에 대해 무지하기에 해법도 모르고 해결의 길을 찾지도 못한다. 성경은 밤에 갇힌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 글은 글이되 유일하게 진리를 머금은 글이다. 그 글은 글에서 그치지 않고 길로 연결된다. 어둠에서 빛으로, 밤에서 낮으로 연결하는 길이다.


하나님을 만나면 밤에도 노래하게 된다. 원래 밤은 탄식의 때이지만 하나님과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때문에 노래하게 된다. 밤이 여전할 수 있지만 노래하는 자의 마음엔 빛이 임하며, 종내 그 빛이 낮을 부른다. 하나님을 알되 친해지는 길을 가야 한다. 하나님에 대한 지식보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노래를 부르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도 나는 노래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