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32:4

출 32:4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금 고리를 받아 부어서 조각칼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 하는지라



모세의 하산이 더뎌지자 이스라엘은 아론을 부추겨 우상을 만든다. 그냥 떠나자고 하지 않은 것이 흥미롭다. 기대야 할 뭔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아담의 타락으로 하나님과 결별했어도 하나님과 함께 했던 흔적이 불가피하게 종교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전도서 기자는 이렇게 표현했다. ‘하나님이... 사람들에게는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셨느니라’(전 3:11). 이 마음이 타락하자 우상을 만든다.


자기중심성이 강한 인간은 우상을 더 편하게 생각한다. 우상은 숭배를 요구할 뿐, 본성의 교정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산꼭대기에서 모세가 십계명을 받는 시점에 산 아래에서 우상을 만드는 이 동시성은 부패한 본성이 지닌 이 복잡함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인간은 신이 내린 계명을 필요로 하는 존재임에도 그 계명을 따르기보다 자기가 원하는 대로 신과의 관계를 설정하려는 편의를 택한다.


팀 켈러는 이를 두고 ‘내가 만든 신’이라는 책을 썼다. 그 때 이스라엘은 금송아지를 만들었지만 오늘날의 교인들은 돈과 힘과 성취를 그 자리에 세운다는 것이다. 그것들이 필요한 인생이지만 그것들을 섬기는 것은 다른 문제다. 그런 점에서 계명을 따르는 부담을 걸머지지 않으려 하는 경향은 위험하다. 참된 신앙이 아닌데도 하나님을 섬기고 있다고 생각하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은 내 안에 송아지 형상이 어디에 남아있는지를 살핀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