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22:21

출 22:21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며 그들을 학대하지 말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였음이라


출애굽 때로부터 이스라엘은 선민으로 구별된다. 이 선민의식이 갈수록 굳어지면서 나중엔 이방인을 지옥 땔감정도로 여기는 배타의식을 가지게 된다. 제사장으로 부름받은 선민임을 깨닫지 못한 소치였다. 그들은 열방에 하나님을 소개하며, 열방을 하나님에게로 인도해야 하는 소명이 있었다. 열방에 속한 영혼 하나하나가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임을 알고 존중해야 했다.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거나 학대하지 말라하심은 ‘존중’에 초점이 있다. 탈주한 노예 오네시모를 아들처럼 대한 바울이 좋은 예다. 그것은 단지 이방인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상호간에도 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이다. 빈부나 계급의 격차를 넘어선 상호존중의 문화다. 초대교회가 잠시동안 보였던 유무상통한 원시공동체의 모습이 그렇다. 오순절에 임하신 성령께서 세우신 순결한 공동체였다.


하나님의 사랑을 입어 구원받은 은총을 기억하며 이웃을 대하라 하신다. 원래 모두가 자기중심성과 이기심으로 가득했던 죄인이었다. 그래서 사랑으로의 전환에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지향점은 분명히 사랑과 존중에 두어야 한다. 내가 받았던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과 긍휼을 생각하며 이웃을 대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것은 그 근원이 수상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사랑과 존중을 조금이라도 더 풀어내어야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잠 1:23 나의 책망을 듣고 돌이키라 보라 내가 나의 영을 너희에게 부어 주며 내 말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저자는 지혜를 의인화한다. 지혜의 근원이 인격적인 하나님의 배려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의식의 영역에서 일어나서 그렇지 기실 하나님께서 알게 하시고 보게하시고 느끼게 하시는 데서 오는 은총이다. 본문에서 ‘나의 영을 부어준다’는 의미다. 솔로몬은

히 13:18-19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우리가 모든 일에 선하게 행하려 하므로 우리에게 선한 양심이 있는 줄을 확신하노니 내가 더 속히 너희에게 돌아가기 위하여 너희가 기도하기를 더욱 원하노라 모든 일에 선하게 하려는 것은 예수님 은혜 안에서 성령님의 도우심으로만이 가능하다. 이 동력을 성령의 감화라 한다. 주 안에서 행하는 모든 것에 기도가 필요한

히 13:1-2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 아브라함이 접대한 나그네는 천사들이었다(창 18장). 만약 아브라함이 그들을 냉대했다면 그 뒤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우선 이삭의 출생에 대한 예언부터 듣지 못했을 것이다. 생면부지의 나그네를 극진히 접대한 것은 형제 사랑에서 우러난 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