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16:29

출 16:29 볼지어다 여호와가 너희에게 안식일을 줌으로 여섯째 날에는 이틀 양식을 너희에게 주는 것이니 너희는 각기 처소에 있고 일곱째 날에는 아무도 그의 처소에서 나오지 말지니라



하루에 하루 분량을 주시더니 안식일 전날에는 이틀치를 주신다. 더도 덜도 아니다. 하나님의 의중과 계산은 정확하다. 여호수아세대가 길갈에서 가나안의 소출을 먹을 때까지 이 원칙은 지켜졌다. 아직 십계명을 받기 이전이다. 그럼에도 안식일의 원칙이 정해진다. 안식의 개념은 계명보다 앞선다는 뜻이다. 그것은 창조와 연결된다.


안식의 개념은 창조주를 인정하고 그를 의지하는 존재로 지음받았음을 드러내는 표식이다. 안식하는 날을 가지는 것은 단지 신체적인 휴식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억하고 하나님께 의탁을 보이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면 안식하는 날이 나머지 육일간을 지킨다. 계명 때문에 안식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피조물로서의 본연에 자리하는 마음으로 지키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격적인 만남을 가진 영혼은 매일을 안식일처럼 지낸다. 반면 인격적인 관계가 약하면 안식일도 일상처럼 지내려 한다. 혹시 오늘도 뭘 거둘게 있나 하면서 나가보는 경우가 그렇다. 인격적 신뢰가 여물지 못한 까닭이다. 계명을 준수하는 마음도 중요하지만 인격적으로 존중하는 마음이 더 아름답다. 약속의 길을 꾸준히 가면 광야에선 하늘의 만나를, 가나안에선 땅의 소출을 먹게 하신다. 하나님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디테일을 지켜나가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