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마태복음 15:3

마 15:3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어찌하여 너희의 전통으로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느냐



유대인들은 십계명과 그 세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규정을 만들었다. 본문에서는 결례와 헌물에 관한 규정이 언급된다. 그런 규정들이 세월을 지나 전통으로 자리잡고는 십계명과 같은 모법의 정신을 흐리게 하는 일들이 많아졌다. 어느 누구도 그 점을 언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예수님은 단호하게 그 허실을 지적하신다. 인간은 틈만 있으면 영을 육으로 변질시킨다.


예배사를 보면 피아노 사용문제를 놓고 교회간에 분쟁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올갠만 써야지 왜 피아노같은 세상 악기를 쓰냐는 것이었다. 지금은 피아노가 없어서 못쓰는 상황이 되었다. 주보를 바꾸다가 교회의 전통을 무시했다는 이유로 결국은 사직했다는 목회자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바리새적 경향은 예수님 당시만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계속 이어지고있는 것이다.


내게도 그런 구멍이 있을 터이다. 나 개인의 판단이나 편의에 따라 자리잡은 고정관념들이다. 교회도 이런 혐의를 벗지는 못한다. 교회나 성도는 이래야 해.. 라는 개별적, 혹은 집단적 관념들이 누적되면서 의와 인과 신을 잃어버리고 사랑의 원리를 손상시키는 경우다. 하나님의 핵심 계명은 사랑이다. 전통이나 고정관념, 편의주의로 그 계명을 범한 것은 없는지를 살핀다. 브루너는 끊임없이 개혁되어야 하는 곳이 교회라 했는데.. 내가 그렇다. 우리 교회도 그렇다. 종일 성령님께 여쭈어야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