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26:7


창 26:7 그 곳 사람들이 그의 아내에 대하여 물으매 그가 말하기를 그는 내 누이라 하였으니 리브가는 보기에 아리따우므로 그 곳 백성이 리브가로 말미암아 자기를 죽일까 하여 그는 내 아내라 하기를 두려워함이었더라


이삭의 신앙 행보는 사람이 지닌 본성적 연약함이 얼마나 뿌리깊은지를 보여준다.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고, 부친과 동일하게 직접 땅과 자손의 약속을 받았다. 다행히 애굽에 내려가지 않는 순종의 도를 보였지만 안전에 대한 염려에 눌리게 된다. 그리고는 아버지가 했던 궁여지책을 반복한다. 두려움은 사람을 비굴하게 만들고 위축시킨다.


두려움은 죄와 관련된다. 범죄한 아담이 하나님을 피해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 이유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아담의 타락 이후 하나님과 분리상태에서 태어난 사람은 두려움이 거의 천성처럼 자리잡는다. 인간의 문명조차 그 생성의 근저에는 두려움이 존재한다. 하나님을 알게 되어도 그 뿌리가 남아 사람의 수단을 강구하는 일이 툭툭 생기는 이유다.


이삭은 하나님 음성을 들은 사람이다. 아내로 인한 자신의 생각을 아뢰면서 보호를 구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가 한 거짓말은 구체적 현실이 주는 압박이 얼마나 위협적인가를 보여준다. 사실 그의 두려움은 기우였다. 오히려 그랄 사람들이 이삭을 두려워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두려움이 주는 부정적 상상을 주의해야 한다. 부정적 상상은 두려움이 힘을 발휘하는 채널이자 사탄의 도구이다. 묵상으로 이 채널을 막아야 한다. 묵상은 상상을 치유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