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26:7


창 26:7 그 곳 사람들이 그의 아내에 대하여 물으매 그가 말하기를 그는 내 누이라 하였으니 리브가는 보기에 아리따우므로 그 곳 백성이 리브가로 말미암아 자기를 죽일까 하여 그는 내 아내라 하기를 두려워함이었더라


이삭의 신앙 행보는 사람이 지닌 본성적 연약함이 얼마나 뿌리깊은지를 보여준다.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고, 부친과 동일하게 직접 땅과 자손의 약속을 받았다. 다행히 애굽에 내려가지 않는 순종의 도를 보였지만 안전에 대한 염려에 눌리게 된다. 그리고는 아버지가 했던 궁여지책을 반복한다. 두려움은 사람을 비굴하게 만들고 위축시킨다.


두려움은 죄와 관련된다. 범죄한 아담이 하나님을 피해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 이유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아담의 타락 이후 하나님과 분리상태에서 태어난 사람은 두려움이 거의 천성처럼 자리잡는다. 인간의 문명조차 그 생성의 근저에는 두려움이 존재한다. 하나님을 알게 되어도 그 뿌리가 남아 사람의 수단을 강구하는 일이 툭툭 생기는 이유다.


이삭은 하나님 음성을 들은 사람이다. 아내로 인한 자신의 생각을 아뢰면서 보호를 구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가 한 거짓말은 구체적 현실이 주는 압박이 얼마나 위협적인가를 보여준다. 사실 그의 두려움은 기우였다. 오히려 그랄 사람들이 이삭을 두려워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두려움이 주는 부정적 상상을 주의해야 한다. 부정적 상상은 두려움이 힘을 발휘하는 채널이자 사탄의 도구이다. 묵상으로 이 채널을 막아야 한다. 묵상은 상상을 치유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