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마태복음 27:46

마 27:46 제구시쯤에 예수께서 크게 소리 질러 이르시되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하시니 이는 곧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하는 뜻이라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하나님의 진노를 받으셨고 하나님에게 버림받으셨다. 나를 위한 일이었다. 내가 태어나지도 않은 때에 예수님은 나의 모든 죄짐을 걸머지시고 나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피흘리셨다. 만물의 근원되신 이가 그 대속을 실행하시면서 난장판이 된 이 세상과 내 삶에 출구가 열리고 서광이 비쳤다. 영원의 관점에서 나는 구원얻기 위해,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것처럼 되었다.


한 때 나는 어느 정도의 성의와 존중을 보이면 하나님이라는 절대자와 사이가 좋아질 수 있는 거 아닌가 생각했다. 그래서 교회도 출석했고 성가대 봉사도 했다. 십자가 설교를 들었지만 감사와 감격이 아니라 알아두는 게 좋은 기독교지식 정도로 여겼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매너와 열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가인의 방식을 따른 시절이었다.


십자가가 지식이 아니라 감사로 다가온 것은 은혜에 대한 자각 때문이었다. 이 보배는 나의 실패 무더기 속에서 발견되었다. 죄와 연약함으로 얽힌 무력감과 자괴감의 수렁 속에서 비로소 왜 십자가가 필요했는지를 절감했고 복음을 왜 복음이라 하는 지를 알았다. 성금요일인 오늘, 예수님의 절규를 상상하며 그 메아리에 나의 영혼을 적시운다. 패션오브 크라이스트에서 보았던 아버지의 눈물이 느껴진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