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명기 21:23

신 21:23 그 시체를 나무 위에 밤새도록 두지 말고 그 날에 장사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았음이니라

고대사회에서 사형당한 자를 나무에 매다는 방식으로 공동체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스라엘백성들은 그 시체를 당일에 내려 장사지내야 했다. 죄로 말미암은 저주가 땅을 더럽히지 않게 하려는 의도였다. 누군가가 과오를 저질렀을 때 그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나 신앙공동체는 다른 방식으로 다뤄야 한다. 죄의 기운이 더 이상 스며들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나무에 달린 자는 죄에 대한 응당의 대가를 받은 자다. 하나님은 대가가 치루어진 일에 대해 계속 왈가왈부하는 것을 원치 않으신다. 죄의 기운에 지배당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바울은 에베소서신에서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라 했는데 비슷한 맥락이다. 부조리한 일에 대해 분노를 품는 것은 가당하지만 그 분노가 밤새 가는 것을 금하셨다. 속히 용서와 화평이라는 방식으로 매듭하기를 원하신 것이다.

마음 안에서 계속 누군가를 나무에 매다는 일들이 있다. 며칠 밤이 지나고 몇 달의 밤이 지나며 몇 년의 밤이 지나도 그 누군가를 나무에서 내려놓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죄의 기운에 잠식당한 상태이다. 신명기때에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하셨는데 신약시대에는 마음을 더럽히는 일이 된다. 마음 안에서 여전히 누군가를 나무에 매달고 있는 경우는 없는지 이 아침에 다시 내 안을 들여다본다.

*자비의 하나님, 하나님의 기업인 저의 마음에 죄의 기운이 맴돌지 않도록 용서와 화평의 길을 가게 하시옵소서.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