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전서 1:10


고전 1:10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모두가 같은 말을 하고 너희 가운데 분쟁이 없이 같은 마음과 같은 뜻으로 온전히 합하라



고린도교회는 바울이 개척한 교회였지만 설립 이후에도 여러 지도자들이 다녀갔다. 그 과정에서 그들을 따르는 무리들이 생겼고 신앙의 패턴이나 신학적 견해의 차이가 생기면서 이른바 ‘파당’이 발생한다. 파당과 유사하게 보이는 것이 ‘교제권’의 형성이다. 교제권이란 비교적 가까이 친교하는 관계망을 말한다. 교회가 클 수록 불가피한 현상이다.

둘 다 다 비슷하지만 결과는 매우 다르다. 파당은 분쟁을 낳고 분쟁은 분열을 가져오지만 교제는 결속을 다진다.


나의 관계망이 건강한가 아닌가를 알게하는 표식은 분쟁이 강한가, 결속이 강한가를 보면 된다. 분쟁은 우월감이나 판단에서 비롯된다. 당연히 상대에 대한 정죄나 비난이 분출된다. 분쟁은 또한 다름과 틀림을 구분하지 못한다. 틀림이 아님에도 자신과 다르면 바르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못하다고 생각한다. 자연히 진정한 사랑과 섬김은 멀어진다.


바울은 ‘같은 마음과 같은 뜻’을 제안한다. 너의 기준도, 나의 기준도 아닌, 주님의 기준을 따르고자 하면 분쟁은 막을 수 있다. 물론 육신적 경향이나 신앙의 수준 차가 없는 것이 아니어서 온전히 합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성경적 영성을 기준치로 삼아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며 방향성을 잡아가는 노력을 한다면 ‘품어가는’ 은혜가 주어진다. 서로가 서로를 품는것이다. 교우관계란 주님의 마음으로 서로를 대해 가는 긴 여정의 장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