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22:15

눅 22:15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동어반복은 강조다. 주님께서 그토록 유월절 만찬을 먹기 원하신 것은 떡과 포도주의 메타포 때문이다. 즉 십자가에서 찢겨질 당신의 몸과 십자가에서 흘려질 당신의 피를 만찬과 연결시키실 참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월절 만찬은 이후 성찬으로 대체된다. 성찬은 십자가 대속의 은총을 내면화하는 상징적 의식이다.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소명으로 실천의지를 다지는 예식이다.


예수님은 이날 밤, 당신을 유월절에 희생되는 어린 양으로 일치시킨다. 그 피는 구원을 얻게 하고 그 살은 출애굽의 동력을 공급한다. 이 거룩하고 복된 첫 성찬의 자리에서 그 의미를 즉각 깨달은 제자들은 없었다. 부활과 성령강림을 겪으며 비로소 엄청난 하나님의 복선을 파악하게 된다. 그 이후, 그들은 평생을 십자가 복음을 전하는 일에 바친다.


성찬식의 자리는 단지 속죄의 효력을 확인하는 데서 그치는 자리가 아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받아들여 그리스도의 대리자이자 증인으로서의 소임을 기억하는 자리다. 우리를 위한 주의 죽으심을 주께서 다시 오시는 그 날까지 힘써 전하는 소임이다. 성찬식은 속죄의 자리일 뿐 아니라 파송의 자리이다. 십자가의 도는 내가 체험하고 내가 전하지 않으면 알려질 길이 없는 진리이다. 나도 주님이 필요하지만 주님 역시 나를 필요로 하신다. 함께 먹고 힘내자 하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