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16:8-9

눅 16:8-9 주인이 이 옳지 않은 청지기가 일을 지혜 있게 하였으므로 칭찬하였으니 이 세대의 아들들이 자기 시대에 있어서는 빛의 아들들보다 더 지혜로움이니라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 그리하면 그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너희를 영주할 처소로 영접하리라



주인에게 찍힌 영리한 청지기가 퇴직 이후를 대비하여 행한 일을 언급하신다. 그는 채무장부를 조작하여 주인에게 빚진 자의 빚 일부를 탕감해준다. 주인의 재물을 불의로 사용하여 자신의 입지를 확보하려 한 것이다. 주님의 칭찬이 있었지만 영리함 때문이지 도덕성 때문은 아니었다. 아마도 당시 종종 있었던 일들을 비유의 소재로 삼으셨던 거 같다.


이 비유는 지금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나님의 신임을 얻기 위해 힘쓰라는 권면이 핵심이다. 인생을 마감하고 주님 앞에 설 때엔 주님과 연관된 것 아니면 남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가능한 한, 자신의 소유나 재능 등을 하나님을 위한 일에 쓰는 사람이 지혜로운 사람이다.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고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일에 참여하는 것이다.


재물은 목적이 아니고 수단이다. 주님은 재물이 없어질 때를 대비하라 하신다. 세상의 실패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장차 주님 앞에 불려갈 때를 말씀하신다. 본문은 세속적 가치관에서 복음적 가치관, 즉 영생을 소망하는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비유다. 세상에서 재물의 위력은 막강하다. 그러나 주님은 분명히 정리하신다. ‘너희는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느니라’(13절). 참된 신자는 영리함과 도덕성을 겸비하여 장차 다가 올 영원을 대비하는 사람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