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매일 큐티 06.06 ㅣ행 2:41-42


행 2:41-42 그 말을 받은 사람들은 세례를 받으매 이 날에 신도의 수가 삼천이나 더하더라 그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오로지 기도하기를 힘쓰니라

베드로의 첫설교에 3천 명이 회심했다. 설교사역보다는 그 앞서 나타났던 성령의 역사로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보았기 때문이다. 사도행전에는 하나의 패턴이 있다. 먼저 표적을 통해 하나님 존재증명을 하고 그 다음 설교를 통해 복음제시를 한 것이다. 사도행전에서 기적을 기적이라하지 않고 표적이라 한 것은 그 기적이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나타내는 표지판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회심 이후 그들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았다. 양육을 받은 것이다. 그들은 서로 교제하고 떡을 떼었다. 그리스도의 보혈로 한 피받은 영적인 가족으로 새로운 관계를 다졌고 성찬과 애찬을 나누면서 은혜와 사랑을 나누는 공동체를 구성했다. 그들은 또 기도했다. 구원을 베푸신 하나님과 하늘로 승천하신 예수님을 체험하면서 저 천국을 향한 그들의 소망은 분명해졌고 기도의 열기도 뜨거워졌다.

이 모든 것은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오순절 성령강림이 아니었다면 십자가는 사람들의 인정을 받기 힘들었을 것이다. 성령으로 아니하고는 그리스도를 주라 할 자가 없기 때문이다. 사도행전은 성령의 감화시키는 역사도 보여주지만 권능의 역사를 강조한다. 영적 세계의 실상을 실감케하는 초자연적 현상을 보면서 사람들은 마음의 문을 열었다. 그리고 그 세계를 알고 싶어했고 가고 싶어 했다. 기적보다 표적을 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말씀기도

하나님 은정에 표적을 허락하시기를 구합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존재증명, 능력증명, 사랑증명.. 그 증명서들을 발급해주시기를 소망합니다. 우리의 신앙이 지식이나 습관이 아니라 생명이요 능력으로 살아 움직이기를 소원합니다.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