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마태복음 19:9

마 19:9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누구든지 음행한 이유 외에 아내를 버리고 다른 데 장가 드는 자는 간음함이니라



성경이 허용하는 이혼 사유에 대해 구약과 신약의 기준 사이에 차이가 있다. 구약의 사유는 다소 포괄적이다. ‘사람이 아내를 맞이하여 데려온 후에 그에게 수치되는 일이 있음을 발견하고 그를 기뻐하지 아니하면 이혼증서를 써서’(신 24:1) 보내라 했다. ‘수치되는 일’에 대한 해석과정에 잘못된 이기심이 작용했고 이런 포괄성 때문에 이 조항이 악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수님은 그 부분을 고치라 하신다.


신약에서는 두 가지 사유가 언급된다. 본문처럼 배우자의 음행으로 인한 경우와, 신앙의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다.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고전 7:15). 유진 피터슨은 메시지 성경에서 이 부분을 이렇게 번역했다. ‘그러나 믿지 않는 배우자가 떠나가려고 하면 떠나가게 내버려 두는 것이 좋습니다. 필사적으로 붙잡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16절의 경우처럼 최선을 다해 배우자의 회심을 감안한 인내를 요청한다.


바울 당시에는 다신교가 성행했고 이방기독교인들은 거의 모두가 우상에 빠진 상태에서 복음을 듣고 회심한 경우가 많았다. 그 과정에서 부부간의 신앙이 갈라지는 경우도 많이 발생했는데 믿지 않는 배우자가 우상을 강요하거나 기독교 신앙 접을 것을 종용하는 경우가 생긴 것이다. 최선을 다해 가정의 복음화를 위해 노력하지만 정히 하나님 버릴 것을 요구해오는 경우에는 믿음을 택하라는 취지였다.


가정은 주님을 향한 신실함과 부부간 서로를 향한 신실함으로 지켜야 하는 곳이다. 주님은 모든 가정이 아름답게 간수되기를 원하신다. 여러 경우를 전제하셨지만 결국 부작용과 완악함을 경계하시는 데에 초점을 두셨다. 모든 가정에 주님께로부터 오는 신실한 은총의 충만을 소망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