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세기 26:22 [22.09.21]

창 26:22 이삭이 거기서 옮겨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다투지 아니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르호봇이라 하여 이르되 이제는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넓게 하셨으니 이 땅에서 우리가 번성하리로다 하였더라


백배나 수확한 이삭에 대해 블레셋 사람들이 도발한다. 시기했고 우물을 흙으로 메웠으며 떠나기를 강요했다. 거의 조폭 수준이다. 목축이 큰 비즈니스였던 당시 우물은 사업의 중심이었다. 우물을 흙으로 메웠다는 것은 오늘날로 치면 사업하는 사람의 자금줄을 끊었다는 말과 같다. 남이 잘 되는 것을 두고 못보는 세상의 속성이 적나라한 상황이다.


이삭은 파던 우물을 내주며, 또 내주고 이동한다. 놀라운 것은 이동하여 땅을 팔 때마다 물이 나왔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얼마나 기이한 일인가는 중근동 메마른 땅에 살아본 사람들은 안다. 처음엔 운빨이었지 했다가 몇 번이고 계속되자 그랄 사람들은 이삭이 섬기는 하나님을 느끼게 된다. 더 건드려서는 좋을 게 없다고 생각하고는 도발을 멈춘다.


이삭의 행보는 롯을 떠나보내며 ‘네가 좌하면 내가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내가 좌하리라’ 했던 아브라함을 떠올리게 한다. 복주시는 하나님에 대한 전적 신뢰에서 나온 믿음의 배짱이며, 성경대로 하면 세상 현실에서 호구될 거라는 왜곡된 생각에 대한 일침이다. 상대가 어떻게 반응하든 주님의 기준을 따르는 사람에게 주님은 광야에서도 길을 내신다. 신자에겐 십자가의 대속으로 인한 풍성한 은총이 약속되어 있다. 그 성취를 바라보며 주님 방식으로 현실을 다루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