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후서 1:6

고후 1:6 우리가 환난 당하는 것도 너희가 위로와 구원을 받게 하려는 것이요 우리가 위로를 받는 것도 너희가 위로를 받게 하려는 것이니 이 위로가 너희 속에 역사하여 우리가 받는 것 같은 고난을 너희도 견디게 하느니라


바울은 자전적 성격을 띤 고린도후서를 시작하며 특히 ‘위로’를 강조한다. 이방인의 사도로 부름받은 후 그는 복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많은 고난을 겪었다. 그 고난을 감당하게 한 은혜가 하나님의 위로였다. 그 위로는 마치 힘겨운 임무를 수행하는 군인에게 보내는 격려와 같다. 걸머지지 않을 수 없는 과정을 견디어내게 하시는 하나님의 배려다.


복음을 전하거나 신앙의 길을 가는 과정에서 세상과의 충돌은 불가피하다. 순전한 신앙인은 세상의 관점에선 별종이기 때문이다. 환난이 닥쳐진다고 해서 사랑과 공의에 벗어나는 일은 할 수 없다. 그대로 걸머지며 통과해내야 한다. 이 땅에서의 구원의 성취는 십자가처럼 고난의 짐이 수반된다. 그러나 거기에 고난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감당하게 하시는 은혜, 걸머지게 하시는 위로를 함께 주신다. 그리고 성도간에 서로 위로하기를 원하신다.


선교지에 도착한 첫 날, 원주민 아우카족에게 피살당한 짐 엘리엇 일행은 총기를 소지하고 있었다. 밀림의 맹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무기였다. 원주민들에게 마지막 한 명이 죽어가기까지 그들은 그 총기를 쓰지 않았다. 그들의 영혼을 건지기위해 찾아 온 까닭이었다. 고난의 극한 정점에서도 그들은 원주민들을 향한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렸다. 진정한 소명의 길에는 고난도 있지만 위로도 있다. 그래서 세상과 사망의 세력에 지지 않고 사랑을 이루게 하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