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린도전서 5:7

고전 5:7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느니라


바울은 고린도교회 안에 벌어지고 있던 음행의 죄를 정리하라고 권하면서 누룩의 교훈을 전한다. 누룩은 죄성을 의미한다. 이스라엘은 제사를 드릴 때, 누룩없는 빵, 즉 무교병을 드린다. 예수님도 제자들에게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누룩’을 주의하라 권하신 바 있다(마 16:6). 참된 신자는 ‘누룩 없는 자’이면서도 한편으론 묵은 누룩을 버리는 자이다.


참된 신자는 중생한 그 시점서부터 십자가의 은혜로 하나님에겐 법적으로 의인이 된다. 이른바 ‘칭의’의 은총이다. 누룩없는 자가 된 것이다. 그러나 중생 이전부터 자리잡고 있던 죄성과 죄의 습관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것을 정리해 나가는 과정이 ‘성화’의 여정이다. 묵은 누룩을 내버리는 과정이다. 분명한 것은 신자의 참된 정체성이 ‘누룩 없는 자’라는 사실이다. 이미 새 덩어리가 된 것이다. 이 대속의 진리를 붙들고 내면과 생활을 다루어 나가는 것이다.


성화는 일종의 싸움이다. 이미 패배한 죄의 잔당을 처리해가는 과정이지만 죄성의 반발이 녹녹치 않을 때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한국전쟁이 끝나서 주권이 회복되었어도 남한은 지리산 공비들로 인해 한참이나 곤욕을 겪었다. 이미 십자가로 죽었지만, 바울처럼 날마다 죽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누룩없는 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즉 주님과 연합한 존재임을 우선적으로 의식하면서 힘써 묵은 누룩을 내버려야 한다. 주님께서 응원하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