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20:37~38


눅 20:37-38 죽은 자가 살아난다는 것은 모세도 가시나무 떨기에 관한 글에서 주를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시라 칭하였나니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시라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 하시니



그나마 바리새인들은 죽음 건너편의 세계를 인정하고 부활도 믿었지만, 권력지향적이고 세속지향적이었던 사두개인들은 신정사회였던 이스라엘에 살면서도 부활을 믿지 않았다. 주님은 그들을 향하여 부활의 진리를 증거하신다.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은 육체의 죽음으로 소멸된 것이 아니다. 그들의 영혼이 하늘에 영원히 살아있음을 전하신다.


간간히 영혼의 소멸론을 언급하는 사람들이 있다. 영원한 지옥의 형벌을 휴머니즘 차원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에서 나오는 관점이다. 유명한 존 스토트 목사님도 영벌의 개념을 해석할 때 아쉽게도 이 관점을 취했다. 그러나 성경은 어디에도 소멸론을 말하지 않는다. 흙에서 온 육체는 흙으로 돌아갈지라도 영혼은 불멸한다. 그래서 이제 죽음 건너편에서 그 영혼이 어떤 상태로 있게 하는가가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천국이냐 지옥이냐, 영생이냐 영벌이냐다.


영원의 관점에서 금생은 우물 안의 세계와 같다. 반면 우물 밖의 세계인 내세는 무한하며 무궁하다. 다행히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그 세계를 미리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리고 소망의 마음으로 준비하는 길을 가게 하셨다. 잠시 뿐인 이 세상에서 후회롭지 않을 준비를 해야 한다. 남은 날들이 귀하다. 오늘도 그 중 한 날을 살아간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