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욥기 37:23-24

욥 37:23-24 전능자를 우리가 찾을 수 없나니 그는 권능이 지극히 크사 정의나 무한한 공의를 굽히지 아니하심이니라 그러므로 사람들은 그를 경외하고 그는 스스로 지혜롭다 하는 모든 자를 무시하시느니라



신학자들은 하나님의 속성을 말할 때 두 가지를 언급한다. ‘초월’과 ‘내재’이다. 어마어마하게 크신 분임에도 우리 안에 함께 하시는 양면성 때문이다. 범접할 수 없는 영광의 처소에 계시면서도 타락한 인간의 마음을 찾으시는 은혜가 공존한다. 구약시대엔 초월이 강조되었고, 신약시대는 내재가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다.


어느 시대이건 두 가지 요소는 항상 함께 있었다. 하나님은 늘 사람을 찾으시고 함께 하시기를 원하셨다. 하나님의 필요보다 사람을 위해서였다. 피조물로서의 사람은 전능하신 창조주를 가까이 할 때가 존재적으로 가장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죄가 장애물이 되어 그 상태를 위협하며 벌려놓지만 하나님은 은혜로 메우시며 계속 찾아 오신다.


세상과 육신으로부터 방향을 바꾸어 하나님을 향하게 하는 회개는 은총의 수단이다. 꼭 잘못이 있어야만 회개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회개의 본질은 방향성이며 갈망이다. 하나님이 사람을 찾는 길이며 동시에 사람이 하나님을 만나는 길이기도 하다. 엘리후는 우리가 전능자를 찾을 수 없다 했지만 사실 하나님은 늘 사람을 찾으시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오늘도 나를 찾으신다. 내 영혼 가장 깊은 곳에 내주하시며 마음을 두드리신다. 나도 역시 하나님을 찾는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