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디모데후서 4:10


딤후 4:10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성경에서 가장 안타까우면서도 섬뜩한 구절 중 하나이다. 바울과 동역하며 동행했던 데마였다. 그러나 그의 세상 사랑은 뿌리깊었고, 끈질겼다. 결국 그는 바울 곁을 떠난다. 자연히 예수님에게서도 멀어져갔다. 데마는 가롯 유다를 연상케 한다. 유다가 예수님에게 한 것 같이 바울을 팔지는 않았지만, 데마는 세상에 대한 애착 때문에 자신의 영혼을 팔았다.


주님 곁에 있었던 유다를 두고 성경은 ‘제 곳’으로 갔다고 말한다(행 1:25). 영벌의 처소이며 영원히 버림받은 곳이다. 데마가 나중이라도 회개할 수 있었을까. 훗날 만인에게 읽힐 성경은 그런 여지를 주지 않고 있다. 데마도 결국 ‘제 곳’으로 향한 것이다. 그 동기는 주님보다 세상을 사랑함에 있었다.


섬뜩한 것은 몸이 주님 곁에 있어도 마음이 세상에 가까우면 어느 지점에서는 결국 영혼의 행선지가 드러난다는 사실이다. 주님과 그렇게 가까운 듯 보였지만 실상은 주님과 길이 다른 경우가 얼마든지 있음을 생각할 때 마음의 깃을 다시 여미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주님을 진정, 가장 사랑하는가. 그 사랑은 마음만이 아니라 삶으로도 나타나는가. 오늘 본문이 나에게 단도직입적으로 묻는 거 같다. 너는 과연 진짜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