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20:28

삿 20:28 아론의 손자인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그 앞에 모시고 섰더라 이스라엘 자손들이 여쭈기를 우리가 다시 나아가 내 형제 베냐민 자손과 싸우리이까 말리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올라가라 내일은 내가 그를 네 손에 넘겨 주리라 하시는지라



비느하스가 등장한다는 건 토막사건의 시기가 사사시대의 초기였음을 보여준다. 약 3백 50년간의 사사시대 중 초기부터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것은 이스라엘의 영적 붕괴가 급속도로 일어났음을 알려준다. 아울러 베냐민지파를 응징하기 위해 연합군이 비교적 빨리 소집될 수 있었던 배경도 설명된다.


유다를 선봉에 내세운 연합군은 두 번의 전투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배한다. 의외의 타격을 당한 이스라엘이 비로소 금식하고 제사를 드리며 성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한다. 이 상황에 대한 하나님의 입장이 양비론에 있음을 암시한다. 즉 베냐민도 잘못했지만 나머지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님을 돌아보게 하신 것이다. 누가 더 매를 많이 버는가의 문제였던 것이다.


신자든, 비신자든, 혹은 신자 가운데서도 괜찮은 신자이든 아니든, 모든 이는 각자가 하나님의 법 앞에서 각자의 책임을 진다. 종종 우리는 더 못된 사람을 볼 때, 상대적 안도감을 가지며 비판에 앞선다. 그러나 하나님은 각자가 져야 할 책임이 있다고 하신다. 연합군이 부분적 전투에서 깨진 것은 자신들에게도 응징받아야 할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누가 뭐라하든, 누가 어떻게 하든 우선 나부터 확실히 주님의 공도를 걸어야 한다. 오늘은 그런 부분을 점검해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