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10:6

삿 10:6 이스라엘 자손이 다시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바알들과 아스다롯과 아람의 신들과 시돈의 신들과 모압의 신들과 암몬 자손의 신들과 블레셋 사람들의 신들을 섬기고 여호와를 버리고 그를 섬기지 아니하므로



이스라엘이 보았을 때 이방족속의 형편이 나아보이지 않았다면 그들의 신을 섬기려 하지 않았을 것이다. 풍요와 다산을 가져온다는 전통적 우상개념은 생존 측면에서 매우 강력한 논리였다. 혹은 음란한 종교의식도 한 몫 했을 것이다. 광야 시절 바알브올의 우상 사건을 보면 어느 정도 광야 연단을 거친 사람들임에도 음란한 욕망을 거부하지 못해 심판을 당한다. 우상은 본능과 욕망을 자극하며 틈탄다.


일단 가치관이 거듭나지 않으면 물질 우상을 거부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럴리는 없지만 만일 교회를 다니는 것이 돈이나 지위를 얻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을거라고 주님이 못박는다면 어떻게 될까. 소수일지라도 그 다음 주부터 교회에 나타나지 않을 교인들이 없는 교회가 있을지 의문스럽다. 또한 예수 믿음이 박해와 고난을 가져다 주는 상황이 뻔할 때 전도는 대단히 힘든 과업이 될 것이다.


가치관과 정체성은 같은 맥을 지닌다. 가치관이 거듭나지 않으면 정체성 역시 욕망이나 본성을 따르기 쉽다. 사사시대의 정신세계가 그랬다. 모태신앙은 있었지만 본성과 욕망의 틈바구니에 여호와 하나님을 끼워주는 수준에 불과했다. 지금 한국교회를 사사시대와 같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우선 영적 지도자들과 신앙의 부모들의 각성이 시급한 때이다.이를 위해 중보하며 변화의 길을 찾아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