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6:27

삿 6:27 이에 기드온이 종 열 사람을 데리고 여호와께서 그에게 말씀하신 대로 행하되 그의 아버지의 가문과 그 성읍 사람들을 두려워하므로 이 일을 감히 낮에 행하지 못하고 밤에 행하니라



기드온을 큰 용사로 부르신(12절) 하나님은 큰 용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결정적 걸음을 내딛게 하신다. 우상을 제거하는 일이다. 큰 용사의 필수 조건은 ‘하나님께서 함께 하심’이다(16절). 그게 되려면 우상은 사라져야 한다. 우상의 제거는 하나님의 개입을 부르고, 승리를 가져 온다.


기드온은 바알 제단을 헐고 아세라 목상을 찍어냈다. 그러나 낮이 아니고 밤이었다. 주민들의 반발이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연약함이 아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상황에서 핵심은 놓치지 않는다. 기어이 우상의 흔적을 지워낸다. 그래도 그 어려운 걸 해낸다. 그러부터 승리가 전염되기 시작한다.


하나님의 역사는 우상을 지우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우상을 지우는 일은 우상을 바랬던 마음의 동기서부터 변환을 요구한다. 삶의 자원을 어디에 둘 것인가의 문제다. 이스라엘은 이 지점에서부터 타협하기 시작했고 그러다가 무너졌다. 나도 그 지점을 찾는 게 중요하다. 거기서 새로 시작하는 것이다.


기드온은 그 지점으로 돌아가 새로이 시작한다. 세상과 다른 결을 택한다. 이 구별된 선택을 거룩이라 부른다. 내 안에 바알제단은 다 헐어졌는가. 아직도 미루고 있는 부분은 없을까, 아니 안 되고 있는 부분은 없을까. 큰 용사로 부름을 받은 것과 큰 용사로 사는 것은 별개다. 내 안의 우상을 없애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