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1:1-2

삿 1:1-2 여호수아가 죽은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여쭈어 이르되 우리 가운데 누가 먼저 올라가서 가나안 족속과 싸우리이까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유다가 올라갈지니라 보라 내가 이 땅을 그의 손에 넘겨 주었노라 하시니라



범사에 하나님을 인정한다는 것은 범사에 여쭙거나 의탁하고 하나님의 반응에 집중하는 거로부터 시작한다. 그 반응을 감지하느냐 못하느냐를 떠나서 일단 여쭙고 집중하는 자세를 견지하는 것만으로도 어려움을 예방하고 좋은 길을 확보할 수 있다. 여호수아시대가 본보기이다. 여리고를 무너뜨리는 것으로 시작해서 가나안 정복에 이르기까지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비결이었다.


내 생각을 반사적으로 따르는 경우가 계속 누적되면 아슬아슬해진다. 사사시대는 그런 위험이 어떻게 현실화되는지를 보여준 시대다. 초기에는 본문처럼 여호수아의 길을 따랐지만 갈수록 세상 풍조를 따르고 자신의 생각을 반사적으로 따르는 일들이 증가되면서 낭패가 닥쳤다. 일관되게 범사에 하나님을 인정하고 의지하는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이미 모세오경이 주어진 때였지만 구체적 현실에서의 적용은 말씀의 바탕 안에서 여쭙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그러면 하나님은 본문처럼 반응하신다. 물론 오래 전 아브라함의 언약에서 가나안 정복의 결과는 예견된 터이다. 그러나 그 언약의 성취를 구체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함께 하시는 주님께 ‘여쭙고 집중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오늘은 그간 여쭙지 않고 행한 일이 있는지 돌이켜 살핀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