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시 12:3-4

시 12:3-4 여호와께서 모든 아첨하는 입술과 자랑하는 혀를 끊으시리니 그들이 말하기를 우리의 혀가 이기리라 우리 입술은 우리 것이니 우리를 주관할 자 누구리요 함이로다



사람의 일은 혀로 이루어져 왔다. 혀로 지시하고, 혀로 설명하고, 혀로 설득하고, 혀로 공격하고… 모든 근원이 마음에 있지만 그 마음이 혀로 발설되면서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이루어져 왔다. 야고보가 말했듯 능히 혀를 제어할 수 있다면 다 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그 혀를 놓고 빛과 어둠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인다. 본문은 어둠이 혀를 차지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을 밝힌다.


타락한 인생은 ‘우리의 혀’와 ‘우리의 입술’을 자랑한다. 현실적으로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미디어에는 이런 류의 자랑들이 난무한다. 8절의 말씀처럼 비열함이 인생 중에 높임을 받는게 당연한 세상이 되었다. 그래서 계속 죄과를 쌓아가고 계시록의 종말적 심판을 향해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는 것이다. 이런 때 시인은 경건한 자와 충실한 자들을 위해 탄원한다. 말씀을 따르는 자들이다.


타락한 이들은 ‘우리의 혀’가 이기리라 하지만, 신실한 이들은 ‘흙 도가니에 일곱번 단련한 은’같은 말씀을 선포한다. 우리의 혀가 아니라 하나님의 혀인 셈이다. 내 혀에는 어느 쪽이 우세할까. 세상성, 혹은 부정적 자아에서 뿜어나오는 탄식일까. 순결한 말씀에서 나오는 믿음의 고백일까. 세상이든 자아든 사람의 혀가 아니라 하나님의 혀가 이긴다. 말씀의 빛이 혀에 가득하게 해야 한다. 그것이 믿음이며 그 믿음이 믿음의 결국을 보게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